안녕하세요!
커널아카데미 AI 부트캠프입니다
최근 네이버에 합격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취업 당시 받았던 면접질문 리스트!
실전 면접처럼 수강생분도 자신있게 답해보세요
1. 직무 관련 질문
no | 면접 질문 |
1 | (NICE평가정보) 타겟마케팅을 모형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변화시켰다고 했는데, 룰기반일 때 매출기반이라 오히려 더 효과가 좋았을 수도 있을 것 같은데. 어떻게 생각하는지? |
2 | (NICE평가정보) 가진 경험을 바탕으로 나이스에서 새로운 사업을 한다면 어떤 사업을 하고싶은지? 어떤 아이디어가 있는지? |
3 | (NICE평가정보) 대학을 졸업한 이후로 전공 지식을 더욱 공부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했는지? |
4 | (NICE평가정보) 개인정보보호법이나 정보통신망법에 대해 알고있는 것이 있는지? 서로 다른 이종 데이터간 결합을 하기위해 어떻게 결합해야하는지? |
5 | (NICE평가정보) 그렇다면 위 결합을 위해 이전 직장에서의 key가 된다면 어떤것이 될 수 있을 것 같은지? |
6 | (카카오) 카카오에서 데이터 프로덕트를 만든다면 어떤 프로덕트를 만들 수 있을지? |
7 | (카카오) 그 프로덕트의 input피쳐와 target은 무엇이 되는지? 성능평가는 어떻게 할 수 있을지?? |
8 | (카카오) 신용평가모형을 카카오에서 만들고자한다. 어떤 피쳐를 만들고싶은가? |
9 | (카카오) 고객CS를 분석할 때, 어떤식으로 분석하고 싶은지?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은 어떤 것이 있는지? |
10 | (네이버) p-value가 0.05일때 보통 가설의 기각여부를 다루는데, 실무에서 p-value의 0.05값은 충분한 값인지? 합리적인지? |
11 | (네이버) LLM 프로덕트에 대한 본인의 의견은 어떠한지? 한국어 기반의 LLM모형이 거대기업의 그것보다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하는지? |
12 | (네이버) 현재 완전 row단의 텍스트 데이터가 피쳐화되지 못하고 DB에있는 상태인데 이것들을 어떻게 피쳐로 만들고 분석할 수 있을지? |
13 | (네이버) 분석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해 본 경험이 있는지? |
14 | (네이버) 데이터 싸이언티스트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? 모델러와 분석가와 차이가 무엇인지? |
15 | (네이버) airflow 등 필요한 인프라를 구성할 수 있는 인력은 있지만, 그것을 기획하고 리드할 인력이 없는 상태라면 어떻게 엔지니어들과 협업할 수 있을지? |
2. 인성 질문
no | 면접 질문 |
1 | (카카오) 협업 경험이 있는지? 협업할 때 본인의 강점과 약점이 무엇인지? |
2 | (카카오) 이전 직장에서 옮기려는 이유가 무엇인지? 비슷한 일이 카카오에서 있을 때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? |
3. 자소서 기반 질문
no | 면접 질문 |
1 | (롯데면세점)학창시절에 리더로서 어려움이 있었던 일이 있었는지? 어떻게 극복했는지? |
2 | (롯데면세점) 영화관객 예측 모형을 만들었다고 했는데, 자소서에 적은 영화 말고 또 어떤 영화를 얼마만큼의 관객수로 예측했는지? 실패했다면 그 원인이 무엇인지? |
4. 기타 질문
no | 기업 | 면접 질문 |
1 | 2~3천 개의 Feature가 있다면, 어떻게 접근하시겠습니까? | |
2 | R과 Python 활용 수준이 어떻게 되시나요? | |
3 | 클라우드 분석 환경에서 분석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다면 상세히 말해주세요. | |
4 | 지원한 도메인에 대해 알고 있는 부분을 모두 말씀해주세요. | |
5 | multi-input 방식의 모델을 사용할 때 모델 관리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설명해주세요 | |
6 | pseudo labeling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? | |
7 | 데이터 사이언스 직무에서 본인만의 경쟁력은 뭐라고 생각하시나요? | |
8 | 모든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면 어떤 데이터를 활용하고 싶은가요? | |
9 | 화성에서 카드 결제 시스템을 만든다면 어떤 것부터 할 것인가요? | |
10 | 회사에 들어온다면 어떤 데이터를 다루고 싶은가요? | |
11 | 프로젝트 중 가장 열정적으로 했던 프로젝트는 무엇인가요? | |
12 | 해당 프로젝트를 우리 회사에서 진행했을 때, 어떤 점에 기여할 수 있나요? | |
13 | p-value 값이 뭔가요? | |
14 | 귀무가설이 뭔가요? | |
15 | 샘플링(Sampling)과 리샘플링(Resampling)에 대해 설명해주세요. | |
16 | 리샘플링은 무슨 장점이 있을까요? | |
17 | p-value를 고객에게는 뭐라고 설명하는게 이해하기 편할까요? | |
18 | TD-IDF를 활용해 본 경험이 있나요? | |
19 | 의사 결정 나무와 회귀 모델의 특징은 무엇인가요? | |
20 | aws 활용해 본 적이 있나요? | |
SQL을 다뤄본 경험을 상세히 말해주세요. | ||
2 | inner join 과 outer join 의 차이점에 대해 말해주세요. | |
3 | 예측 태스크를 수행한 경험이 있다면 상세히 말해주세요. | |
4 | Confusion matrix에서 precision, recall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. | |
5 | random forest의 장단점을 설명해주세요. | |
6 | 입사 후, 외부 데이터를 수집해 DB 구축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경험이 있으신가요? | |
7 | 자사에 입사하면 어떤 분석을 하고 싶은가요? | |
8 | 통계에 대한 지식을 모르는 사람에게 해당 지식을 어떻게 쉽게 설명할 것인가요? | |
9 | 최근 써본 알고리즘 중에 흥미로웠던 것이 있다면 설명해주세요. | |
10 | 본인이 진행한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해주세요. | |
11 | 코로나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 대해 어떻게 예측할 것인가요? | |
12 | 매출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어떤 분석 활동을 진행할 것인가요? | |
13 | 게임 안의 무수히 많은 데이터 중 어떤 데이터 위주로 업무를 하고 싶나요? | |
14 | 본인이 만든 모델링을 통해 억울하게 제제를 당한 유저가 생긴다면,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요? | |
15 | 옴니채널을 구축해서 온/오프라인을 연결했다면, 통합된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일까요? | |
16 | 코스메틱은 트렌드 분석이 중요한데요, 어떻게 트렌드를 분석할 것인가요? | |
17 | 본인이 가장 기여도가 높았던 프로젝트는 무엇인가요? | |
18 |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에서 가장 강점인 영역은 무엇인가요? | |
19 | 다양한 출신의 사람들이 모인 문화에 잘 적응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? | |
20 | 분석 후 내용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상급자에게 전달할 것인가요? |

